2013년 8월 26일 월요일

“인도 경제위기는 개혁 외면·부패 때문”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사 이후 인도발 경제위기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다. 신흥국의 경제위기가 중국에서 시작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인도에서 시작되면서 인도가 세계경제 위기의 진원지가 될 전망이다. 경상수지 적자와 개혁의지 부족, 사회 전반에 만연한 부패 등 인도의 만성적인 취약점이 드러나면서 인도경제가 개선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비관론도 깊어지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5일 ‘인도 경제위기의 아이러니’라는 기사에서 “세계경제 위기 속에서도 8%대의 경제성장률을 구가하던 인도가 신흥시장의 위기를 주도하고 있다”며 “인도의 ‘드러나 있으나 보이지 않았던(hidden in plain sight)’ 경제적 취약점이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FT는 중국이 아닌 인도에서 신흥국 위기가 시작된데 대해 인도의 만성적 경상수지적자와 개혁의지 부족을 꼽았다. 실제 지난 2007년 80억 달러(약 8조9120억 원) 규모였던 인도의 경상수지적자는 2012년 900억 달러로 증가했다. 인도 국내총생산(GDP) 대비 5%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달러화에 대한 투기적인 수요로 이어졌을 뿐만 아니라, 인도정부는 오랜 기간 외자로 경상수지 적자를 메워야 했다.

또한 경제개혁에 대한 인도정부의 의지부족도 인도발 신흥시장 위기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이 경제개혁을 위해 고통을 감수하고 있는 것과 달리, 만모한 싱 인도 총리는 경제학자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족벌에 의한 경영이 이루어지는 ‘정실 자본주의’가 자본주의 초기단계에 가장 적합하다고 믿으며 개혁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투자와 저축을 통해 8%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싱 총리의 예측도 빗나갔다. 

이에 따라 인도가 1980년대 경제위기 때보다 더욱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시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요청을 할 가능성까지 예측되고 있다. 인도의 외환보유액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1년보다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단기외채가 1700억 달러에 달하는 상황이다. 인도 상위 10대 기업의 부채 또한 1200억 달러로 2007년 이후 6배나 늘었다. 
<기사 출처 : 문화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