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재난재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재난재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5월 27일 수요일

인도 폭염에 1천200명 사망…노숙자·건설노동자 취약



26일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 주와 카르나타카 주 경계에 있는 가우리비다누르 마을에서 한 농부가 갈라진 땅에 앉아 있다.(EPA=연합뉴스)

당국 미흡한 대처 지적…"근로시간 조절·쉼터 설치 필요"

섭씨 50도에 육박하는 무더위가 인도를 강타한 가운데 폭염 사망자가 1천200명을 넘어섰다.

폭염은 이달 말 남부지방부터 몬순(우기)이 시작된 이후에야 사그라질 전망이어서 피해가 늘어날 것이 우려된다.

가장 피해가 큰 남부 안드라프라데시 주에서는 지난 18일부터 지금까지 884명이 숨졌고, 텔랑가나 주에서는 15일 이후 269명이 사망했다고 dpa 통신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두 주에서는 며칠째 최고 기온이 섭씨 45도를 넘었고 최고 48도까지 기록했다.

동부 웨스트벵골 주와 오디샤 주, 북서부 라자스탄 주 등 인도 다른 지역에서도 75명 이상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인도 뉴델리에서 폭염에 도로 아스팔트가 녹았다.(EPA=연합뉴스)

수도 뉴델리에서는 아스팔트 도로가 지열에 녹아내린 것이 목격되기도 했다.

사망자 대부분은 50세 이상 노년층으로 집이 없는 노숙자거나 건설노동자로 파악됐다.

인도 기상청 관계자는 북서부 라자스탄 주의 사막에서 고온건조한 북서풍이 불어오는 데다 강우량이 부족해 폭염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나아가 지구적인 기후변화 때문에 혹서기가 길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 당국의 안이한 대처가 많은 피해자를 낳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도는 매년 5월마다 폭염에 시달렸고 2002년과 2003년에도 수천 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당국은 '한낮에 야외 활동을 피하고 물을 많이 마시라'는 원론적인 안내만 할 뿐 적극적인 주민보호에 나서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27일(현지시간)인도 뉴델리 외곽 가세라에 있는 벽돌공장에서 한 노동자가 물을 마시고 있다.(AP=연합뉴스)

텔랑가나 주의 주도 하이데라바드에 거주하는 알프레드 인네스는 "주 정부가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고 있어 주민들 스스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경우 텔레비전을 통해 주민들에게 외출 시 모자를 쓸 것과 물을 마실 것을 권하고 있을 뿐이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부편집장인 피아랄랄 라가반은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농촌지역 근로 시간 조정이 필요하다"며 "야외 노동자가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을 건설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노인과 만성질환자 등 취약계층이 즉시 도움받을 수 있는 지역 의료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

2015년 5월 4일 월요일

<네팔 지진> 인도, 대규모 지원하고도 오히려 반감 확산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네팔 카트만두 공항에서 인도공군이 헬기로 부상자를 옮기고 있다.(EPA=연합뉴스DB)
3면 접한 이웃나라 인도의 영향력 확대 우려…"우린 인도의 州 아니다" 

구조인력 650명 이상을 파견하는 등 네팔에서 대규모 구호작업을 벌이는 인도에 대해 오히려 현지에서 반감이 퍼지고 있다.

'@아이가리마1'이라는 한 네팔의 트위터 이용자는 3일(현지시간)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수신자로 한 글에서 "지진으로 다라하라 타워는 무너졌지만, 우리 주권이 무너진 것은 아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다른 트위터 이용자는 "우리는 (인도 동북지방에 있는) 비하르 주(州)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인도 영자신문 퍼스트포스트는 이 같은 부정적 반응의 주요 원인으로 인도 정부가 구호 작업을, 네팔에 대한 영향력을 선전하고 확대하는 기회로 삼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네팔은 중국과 접한 북부를 제외하면 동·서·남 3면이 인도에 둘러싸여 경제적으로 인도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상황에서 구호 작업을 계기로 정치·군사적으로도 종속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네팔 언론에는 구호를 위해 파견된 인도 헬기가 네팔 당국과 협의 없이 중국 국경 인근으로 비행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키렌 리지주 인도 내무부 정무장관이 지난달 29일 의회에서 "인도가 네팔 재난 대응에 선도적 국가로 부상했다"고 발언한 것도 경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트위터에 '인도 언론 돌아가라'(#GoHomeIndianMedia)는 해시태그(주제어)를 단 글이 현재 16만건 이상 올라올 정도로 네팔에서는 인도 언론에 대한 부정적 반응도 확산하고 있다.

현재 네팔에는 NDTV, 타임스나우, 지뉴스, CNN-IBN 등 여러 인도 언론사 소속 취재진이 200명 이상 파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네팔인들은 인도 취재진이 재난을 당한 네팔인의 감정과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취재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인도 언론이 자국의 구호 노력을 지나치게 강조해 네팔 국민에게 감사를 강요하는 분위기까지 조성해 자존심을 해쳤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위터 이용자 라트나 비슈와나탄은 "인도의 한 방송사 기자가 10살 딸이 숨진 여성에게 누가 사망했는지 6번이나 다시 물었다"며 취재 행태를 비판했다.

네팔 일간 '텔레그래프 네팔'은 인도군이 구호를 위해 파견한 헬기에 인도 취재진이 함께 타면서 지진 희생자나 이재민·조난자를 태울 공간이 부족해졌다고 지적했다.

네팔 출신 작가인 수니타 샤키아는 CNN블로그에 '인도 언론에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취재진은 극적인 순간을 1초도 놓치지 않고 싶겠지만, 언론인에 앞서 사람이라면 다른 사람을 구하는 게 우선"이라고 꼬집었다.

란지트 라에 네팔 주재 인도 대사는 이 같은 부정적 여론과 관련해 "인도는 네팔에서 정치를 하려는 게 아니다"라는 글을 현지 언론에 기고하기도 했다.

네팔 일간 네팔리타임스의 쿤다 딕시트 편집장은 "세계 어디나 언론의 취재 모습은 비슷하지만, 네팔에서는 외국 언론 가운데 인도 방송·신문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것 같다"며 "인도에 대한 부정적인 트위터 글보다 인도의 지원과 노력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들이 10배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