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30일 금요일

무협, “인도 외환위기 가능성 매우 낮다”

“외환보유액·단기외채 비중 등 1991년 외환위기와 상황 달라”

최근 인도 경제는 주가와 루피화 가치 급락, 국채금리 상승 등으로 1991년과 같은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이 있다고 일각에서 우려 중이다. 그러나 외환보유액, 단기외채 비중 등을 고려하면 외환위기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펴낸 ‘인도 외환위기 재발 가능성 긴급 진단’ 보고서는 9월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결과를 지켜봐야 하겠지만 외환보유액, 단기외채 비중, 인도정부의 위기인지 여부와 조치 등을 고려 시 1991년 위기와 현재 상황은 달라 재발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고 밝혔다. 

인도는 지난 1991년 큰 폭의 재정 및 경상수지 적자, 외국인 투자자로부터의 신뢰 부족에 따른 외화유출 등으로 외환위기를 초래, 보유중이던 67톤의 금을 은행에 담보로 예치해 IMF로부터 22억 달러 긴급구제금융을 지원받은 바 있다. 

당시 인도는 외환보유고가 12억 달러에 불과해 2~3주 수입액을 지급할 여력도 되지 않았으나, 현재 외환보유고는 2825억 달러로 대략 6개월의 수입액이 감당 가능하다. 

외채규모 역시 올해 3월 현재 3900억 달러이나 상당부분은 당장 갚을 필요가 없는 장기외채이며 단기외채는 967억 달러로 총 외채의 24.8% 수준이다. 

다만 인도는 내년 5월 총선을 앞두고 있어 재정적자를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최근 경제상황으로 경제정책 전반에 걸친 개혁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로 2009년 총선 이전부터 시작된 포퓰리즘적인 정책 및 예산 운용으로 재정적자가 GDP 대비 6%를 초과했다. 

이에 따라 인도 정부는 2016년까지 재정적자를 GDP 대비 3% 규모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작년 9월부터 연료보조금을 축소, 외국인투자자금 유입을 위해 종합소매업(51%) 및 소매점(100%) 등에 대한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상한선을 상향 조정했다. 

올해 들어서는 외국인 투자규정 추가 완화, 금 수입관세 인상, 은행간 금리 인상 및 외화송금액 제한 등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강구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 규정을 총 투자금 100만 달러 이하에서 200만 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인구 100만명 이하 도시 진출 제한을 철폐했다. 1인당 연간 해외 송금액은 20만 달러에서 7만5000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이외에도 인도는 올해만 3번째 금 수입관세를 인상, 작년 금 수입량인 950톤을 850만 톤으로 줄이고 TV와 같은 면세 전자제품은 반입 금지 조치했다. 

이 같은 경제개혁 및 자본시장 조치는 금유시장에서 갑작스런 패닉으로 발생한 외국인자금의 이탈을 막는 데는 다소 제한적이나 일정기간 경과 시점에서는 시장이 안정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2500만 명에 달하는 구외 거주 인도인들의 본국 송금액이 작년 690억 달러로 전년대비 60억 달러가 증가해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인도 경상수지 적자 해소에 나름대로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7월 인도의 수출은 11.6% 증가한 258억 달러, 수입은 6.2% 감소한 381억 달러를 기록하고 무역수지 적자는 123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9.8% 감소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인도는 1991년과 같은 위기 재발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이다”며 “다만 오는 17~18일 예정된 미 연준 공개시장위원회 결과, 지난해부터 펴온 인도정부의 위기대응 노력 성과 여부, 향후 시장변화에 따른 인도 정부의 추가조치 등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 출처 : 주간무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