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8일 월요일

전이슬람권 분쟁 무대화

이슬람 세계 어디로 가나
장기전쟁으로 바뀐 테러와의 전쟁

이슬람권 분쟁 다층·다자화
동남아선 불교와 충돌 조짐
‘종전’이란 미국 의도와 반대

# 아프가니스탄 정부군과 탈레반 무장대원들의 전투로 정부군 14명, 탈레반 대원 64명 사망.
# 파키스탄 동부 라호르의 한 식당에서 폭탄테러로 4명 사망.
# 이라크 바그다드의 한 시아파 사원에서 자살폭탄테러로 15명 사망, 30명 중상
# 바레인의 시아파 마을인 시트라에서 폭탄테러로 경찰관 1명 사망, 3명 부상.
# 나이지리아 요베주의 마무드기숙학교에서 이슬람주의 무장단체 보코하람의 공격으로 학생 22명이 학살당하고 이 지역의 모든 중등학교가 폐쇄됨.
# 인도 비하르주에 있는 세계문화유산인 보드가야 불교사원에서 폭탄이 터져 2명 부상.
지난 주말에 이슬람권에서 벌어진 주요한 폭력 사건들이다. 현재 이슬람권을 휩쓸고 있는 테러와 소요, 전쟁 상황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아프간에서는 여전히 전쟁이 계속되고, 파키스탄에서는 아프간 전쟁의 여파로 파키스탄 탈레반 등 이슬람주의 무장세력들의 테러가 늘고 있다. 이라크에서는 시아파와 수니파 사이의 종파분쟁이 다시 불붙고 있다. 이 종파분쟁은 인근 바레인 등지로 전파되고 있다. 이슬람주의 무장투쟁은 사하라사막 이남 블랙아프리카로도 번져,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소요와 내란이 확산되고 있다. 미얀마에서 벌어지는 불교도와 무슬림의 분쟁은 인도의 불교사원에 대한 테러로 비화되고 있다.
2010년 12월 시작된 중동의 민주화 운동인 ‘아랍의 봄’에 이어 2012년 5월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라덴이 숨지자, ‘테러와의 전쟁’이 출구를 찾을 수 있으리란 기대가 고개를 들었다. 미국의 버락 오바마 행정부도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단어를 폐기하며 이라크 철군과 아프간 종전을 모색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2년이 지난 지금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지만, 이슬람권을 뒤덮은 테러와 소요, 전쟁은 더 악화되고 있다. 오히려 블랙아프리카와 불교도 지역까지 분쟁이 번지고 있다.
이라크가 극명한 예다. 미국은 2011년 12월 이라크에서 전투병력 철군을 완료하고, 이라크가 안정화됐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올들어 수니파와 시아파 사이의 종파분쟁이 다시 격렬해져 4월 이후 약 2500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라크 분쟁으로 가장 많은 수가 사망하던 2008년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심각성은 이슬람권의 분쟁이 다층화, 다자화되고 있는 점이다. 당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분쟁으로 촉발된 이슬람권의 분쟁은 서방과 아랍민족주의 사이의 분쟁 성격이 짙었다. 하지만, 현재는 서방 대 이슬람권, 이슬람주의 대 세속주의, 수니파 대 시아파 등 종파분쟁, 쿠르드족 분쟁에서 나타나는 다수민족 대 소수민족 분쟁, 권위주의 정권 대 시민사회, 이란 대 사우디아라비아 등 이슬람권 국가 사이의 분쟁 등으로 분쟁구도가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시리아 내전은 상징적인 사례다.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세력들의 저항으로 시작된 시리아 내전에선 위에서 언급한 6대 분쟁 구도가 모두 뒤엉켜 있고, 해법은 난망하다.
미국 우파 단체인 민주주의수호재단은 이슬람권 분쟁을 ‘서방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최대 요인’으로 보고, 이에 대한 대응을 ‘장기전쟁’(Long War)이라 부른다. 이들은 <롱 워 저널>이라는 뉴스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세계적 테러와의 전쟁’의 전황을 보도한다. 다수의 미국 당국자와 학자들도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용어가 폐기된 뒤에 ‘장기전쟁’이라는 단어를 쓴다. 2차대전 뒤 팔레스타인 땅에 이스라엘이 건국되면서부터 시작된 중동 분쟁은 약 80년이 흐른 지금 이슬람권 전역으로 확대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쪽으론 대서양 연안 모로코부터 동쪽으론 태평양 연안 필리핀의 민다나오 섬까지, 남쪽으론 나이지리아에서 북쪽으론 체첸 등 러시아 카프카스 지역까지 이슬람권 전체가 테러와 소요, 내란, 내전에 휩싸여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집트의 이슬람주의 정부인 무함마드 무르시 정부가 군부 쿠데타로 실각함으로써, 현대의 이슬람 세계는 다시 중요한 변곡점을 맞고 있다. 현대 이슬람주의의 원류로서, 세속주의 및 기존 체제와 타협을 모색하던 이들이 거부당한 현실은 무장투쟁을 주장하는 강경파들에게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기사 출처 : 한겨레>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