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야성 MIT 슬론 경영대학원 교수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2010년 9%대에서 올해 4%대로 추락했다.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세계 경제는 10% 가까운 성장률을 보인 '용(중국)'과 '코끼리(인도)' 덕에 파국을 피할 수 있었다. 중국도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인도와 달리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진 것은 아니다.
내년 총선을 계기로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돼야 하는 '휘청거리는 코끼리' 인도에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출처: 블룸버그> |
컨설팅업체 매킨지는 최근 '다시 보는 인도(Reimagining India)'라는 제목의 책 한 권을 내놓았다. 학계 전문가, 기업인, 언론인은 물론 댄서, 식당 경영자, 체스선수 등 많은 사람이 나름대로 인도에 대한 생각을 적은 글이다. 60개의 글 가운데 하나는 황 교수가 쓴 것이다.
'다시 보는 인도'는 인도가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지위를 회복하고 있지만 과연 낙관적으로만 볼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 담긴 책이다. 제목 그대로 인도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황 교수는 인도의 노동시장 개혁이 중요한 열쇠라고 지적했다. 12억 인구 모두가 IT·소프트웨어 분야에만 종사할 수 없으며 여성, 농촌 출신들도 일할 수 있는 제조업·서비스업 분야까지 발전시켜야 한다는 게 황 교수의 논리다. 특정 산업에 치우치면 인도의 모든 가능성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제대로 교육 받지 못한 비숙련 인력을 위해 제조업·서비스업 발전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도의 노동시장 규제가 IT나 소프트웨어 일자리에 별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장 필요한 제조업 일자리만 죽이고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인도 정부가 건강·교육 등 사회 분야에 좀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세금은 더 거둬들여야 한다는 지적도 잊지 않았다. 세금을 충분히 걷지 못해 정부가 교육·건강 부문에 투자할 여력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황 교수는 인도가 성장률 5~6%를 달성해야 탄탄하게 성장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베이징(北京) 태생인 황 교수는 수준 높은 교육을 받고 싶어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는 1985년 하버드 대학 행정학부 과정을 마쳤다. 1991년에는 하버드 대학 존 F 케네디 행정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미시간 대학과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로 재직한 바 있는 황 교수는 현재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국제경영학을 강의하고 있다. 그는 슬론 경영대학원에서 중국연구소와 인도연구소를 설립해 현재 소장까지 맡고 있다.
세계은행 컨설턴트로도 활동한 그는 월스트리트저널, 이코노미스트, 비즈니스월드 등 유력 매체에 많은 글을 쓰고 있다.
<기사 출처 : 아시아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